소매업의 공간적 분포와 관련된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?
1
소매 판매액의 변화가 없어도 해당 지역의 인구가 감소하면 중심성지수는 높아지게 된다.
2
교외형 쇼핑센터가 개발되고 소매업이 교외로 적극적으로 진출하게 되면 도시간 분업이 강화된다.
3
자기 지역의 소매업을 강화하여 구매력의 유출을 막고 인접도시에서 구매고객을 유인하려는 도시간 경쟁이 나타나고 있다.
4
주변도시는 선매품에 대해서는 중심부로 흡인되지만 그와 함께 그보다 바깥에 위치한 지역으로부터 구매력을 흡인하게 된다.
5
소매상권이 지리적으로 어느 정도의 범위를 갖는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기존점포 상권의 경우에는 거주지 확인법(spotting technique)을 주로 활용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