친사회적 행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1
정신분석이론에서 친사회적 행동은 초자아의 발달과 관련되어 있다.
2
유아기에서는 타인의 고통을 직접 보지 않고 주로 상상만으로 감정이입을 한다.
3
사회교환이론에 따르면 친사회적 행동으로 인한 손해가 보상보다 클 때 친사회적 행동은 감소한다.
4
이타적 행동은 유아기보다 아동기에 더 많이 발생한다.
5
사회학습이론에 따르면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보상의 관찰은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킨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