로그인
기출문제 유통관리사 2급 2024년 2회 31번
객관식 유통관리사 2급 2024년 08월 31번

상권의 특성은 상권의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. 주변환경을 중심으로 상권을 분류할 때 상권의 유형과 일반적인 상권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1
역세권 상권 – 역세권 상권의 범위는 역을 중심으로 일정한 거리나 이동시간으로 정해져 있지 않으며 역의 규모, 시설 및 기능, 주변 개발상황, 다른 교통수단과의 연계성 등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.
2
아파트상권 – 점포 공급의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세대당 상가면적을 검토해야 한다. 다른 단지나 인근 주택가와의 연계성이 높지 않은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단지규모가 클수록 좋은 입지조건으로 판단한다.
3
주택가상권 – 단독주택, 다가구 또는 다세대주택 등의 주거형태로 이루어진다. 유동인구 보다는 인근 거주자를 중심으로 소비자가 한정되는 경우가 많고 아파트상권과 달리 근린상업지역에 해당된다.
4
사무실상권 – 사무실밀집지역에 형성된 상권을 의미하며 지역 내 거주인구가 적고 주로 직장인을 상대하므로 구매 패턴이 일정하고 매출이 점심시간이나 퇴근시간의 짧은 시간에 집중되는데 주말이나 공휴일에 매출이 급감하기도 한다.
5
대학가상권 – 대학교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상권으로 대학생을 비롯한 청소년층이 주요 소비자가 되기도 한다. 대학의 학생수나 기숙사의 유무, 교통연계성 등에 따라 상권의 매력도가 달라지며 주중과 주말의 매출차가 큰 경우도 있다.
문제 더보기 모바일 미리보기

오늘학습 앱 미리보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