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권의 유형중 역세권은 각종 교통수단의 연결점, 생활권의 중심, 지역성장의 거점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에 점차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?
1
역세권은 기차역이나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상업 및 업무활동이 이뤄지는 주변지역으로 관련 법률에서는 역을 중심으로 반경 500m 이내로 규정하고 있다.
2
역세권의 범위는 역 주변의 교통사정, 도로사정 등에 따라서 변한다.
3
역세권은 역을 중심으로 반경 250m이내를 1차 역세권, 이를 둘러싼 반경 500m이내 지역을 2차 역세권으로 구분하는 방식으로 거리에 따라 계층을 나누기도 한다.
4
역세권은 핵심지구, 역세권 중심지구, 역세권지구, 역세권 배후지구로 구분할 수 있다.
5
역세권은 종착역세권, 환승역세권, 통과역세권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종착역세권은 대부분 도심부 역사를 중심으로 한 지역을 말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