행동주의 상담의 기법과 예시의 연결이 옳지 않은 것은?
1
소거 - 자녀가 문제행동을 했을 때 부모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.
2
차별강화 - 수업 중 자리를 이탈하는 학생이 제 자리에 앉아있을 때만 칭찬을 하였다.
3
과잉교정 - 주1회 방청소를 하기로 한 아이가 청소를 하지 않자 다음 2주 동안 매일 방을 청소하도록 하였다.
4
혐오치료 - 금연을 하려는 청소년에게 담배와 관련된 질병에 걸려 고통스러워하는 장면을 상상해 보게 하였다.
5
행동조성 - 자기표현을 잘하는 친구의 행동을 지켜보고 나서 친구들의 부당한 요구에 거절하는 행동을 시도해보았다.